티스토리 뷰

목차


    2026학년도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소득분위에 따라 최대 9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데, 정확한 기준을 모르면 놓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 9구간까지 확대되면서 더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가족의 소득분위는 어떻게 확인하고,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을까요?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한눈에 보기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는 가구의 월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0~9구간으로 나뉩니다.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월급만 보는 것이 아니라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해서 계산합니다.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로 산정되며, 2026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약 6,097,773원을 기반으로 약 2~3% 인상될 예상입니다.

    요약: 소득과 재산을 함께 계산해서 0~9구간으로 분류

    2026학년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기준표

    4인 가구 기준으로 예상되는 2026학년도 소득분위를 정리했습니다. 실제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니 참고하세요.

    기초·차상위: 수급자격 기준 (소득 무관, 전액 지원)
    0구간: 3,048,887원 미만 (중위소득 50% 미만)
    1구간: 3,048,887원 ~ 3,963,553원
    2구간: 3,963,553원 ~ 4,878,220원
    3구간: 4,878,220원 ~ 5,792,886원
    4구간: 5,792,886원 ~ 6,707,553원
    5구간: 6,707,553원 ~ 7,622,219원
    6구간: 7,622,219원 ~ 8,536,886원
    7구간: 8,536,886원 ~ 9,756,437원
    8구간: 9,756,437원 ~ 12,195,546원
    9구간: 12,195,546원 ~ 15,244,433원 (신설 구간)

    예를 들어 4인 가구 월 소득인정액이 5,000,000원이라면 3구간에 해당되어 연간 6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 4인 가구 기준 월 500만원이면 3구간, 연간 600만원 지원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지원 금액

    소득분위에 따라 지원받는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등록금 범위 내에서 차등 지급되며, 학기당 분할 지급됩니다.

    기초·차상위: 등록금 전액 (최대 900만원)
    0~3구간: 연간 600만원 (학기당 300만원)
    4~6구간: 연간 440만원 (학기당 220만원)
    7~8구간: 연간 360만원 (학기당 180만원)
    9구간: 연간 100만원 (학기당 50만원)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의 셋째 이상 자녀는 1~8구간 전액 지원, 9구간은 학기당 100만원 추가 지원됩니다.

    요약: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더 많이 지원, 기초·차상위는 전액

    우리 집 소득분위 30초만에 확인하는 법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산정을 위해서는 재산(부동산, 금융자산, 자동차 등)도 포함되므로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확인 방법
    1.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접속
    2. 로그인
    3. '나에게 맞는 장학' 메뉴 선택
    4. '학자금 지원구간 모의 계산기' 클릭
    5. 가구원 정보 및 소득·재산 입력
    6. 예상 구간 확인

    신청 후 실제 구간 산정까지는 약 8주가 소요되니 여유있게 준비하세요.

    요약: 한국장학재단 모의 계산기로 30초 확인 / 정확한 산정은 8주 소요

    국가장학금 신청 전 꼭 챙길 사항

    국가장학금을 신청할 때는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서류 미제출 시 심사가 불가능하니 주의하세요.

    필수 준비사항
    • 가구원 동의 (최초 1회 필수)
    • 소득·재산 증빙 서류 제출
    • 성적 기준 확인: 재학생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 GPA 백분위 80점 이상 (기초·차상위는 70점 이상), 신입생은 1학기 면제
    주의사항
    • 금융자산 1억원 초과 시 환산 소득 추가 (예: 초과분 1/10 월환산)
    • 소득 변동 시 2학기 재산정 신청 가능
    • 지원 자격이 없더라도 신청 추천 (소득구간 확인으로 다른 장학금 활용 가능)
    요약: 가구원 동의와 서류 제출 필수 / 성적 기준도 확인

    숨은 혜택까지 챙기는 방법

    국가장학금 1차 신청 시 다른 장학금도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가근로장학금(학기당 158만원)과 주거안정장학금(월 20만원)을 통합 신청하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6학년도 1학기 신청 기간은 11월 20일부터 12월 26일까지입니다. 문의사항은 한국장학재단 콜센터(1599-2000)로 연락하거나 홈페이지를 활용하세요.

    요약: 국가근로·주거장학금 통합 신청으로 추가 혜택 / 신청기간 12월 26일까지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