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6학년도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소득분위에 따라 최대 9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데, 정확한 기준을 모르면 놓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 9구간까지 확대되면서 더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가족의 소득분위는 어떻게 확인하고,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을까요?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한눈에 보기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는 가구의 월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0~9구간으로 나뉩니다.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월급만 보는 것이 아니라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해서 계산합니다.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로 산정되며, 2026년에는 4인 가구 기준 약 6,097,773원을 기반으로 약 2~3% 인상될 예상입니다.
2026학년도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기준표
4인 가구 기준으로 예상되는 2026학년도 소득분위를 정리했습니다. 실제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니 참고하세요.
예를 들어 4인 가구 월 소득인정액이 5,000,000원이라면 3구간에 해당되어 연간 6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별 지원 금액
소득분위에 따라 지원받는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등록금 범위 내에서 차등 지급되며, 학기당 분할 지급됩니다.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의 셋째 이상 자녀는 1~8구간 전액 지원, 9구간은 학기당 100만원 추가 지원됩니다.
우리 집 소득분위 30초만에 확인하는 법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산정을 위해서는 재산(부동산, 금융자산, 자동차 등)도 포함되므로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접속
- 로그인
- '나에게 맞는 장학' 메뉴 선택
- '학자금 지원구간 모의 계산기' 클릭
- 가구원 정보 및 소득·재산 입력
- 예상 구간 확인
신청 후 실제 구간 산정까지는 약 8주가 소요되니 여유있게 준비하세요.
국가장학금 신청 전 꼭 챙길 사항
국가장학금을 신청할 때는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 서류 미제출 시 심사가 불가능하니 주의하세요.
- 가구원 동의 (최초 1회 필수)
- 소득·재산 증빙 서류 제출
- 성적 기준 확인: 재학생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 GPA 백분위 80점 이상 (기초·차상위는 70점 이상), 신입생은 1학기 면제
- 금융자산 1억원 초과 시 환산 소득 추가 (예: 초과분 1/10 월환산)
- 소득 변동 시 2학기 재산정 신청 가능
- 지원 자격이 없더라도 신청 추천 (소득구간 확인으로 다른 장학금 활용 가능)
숨은 혜택까지 챙기는 방법
국가장학금 1차 신청 시 다른 장학금도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가근로장학금(학기당 158만원)과 주거안정장학금(월 20만원)을 통합 신청하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6학년도 1학기 신청 기간은 11월 20일부터 12월 26일까지입니다. 문의사항은 한국장학재단 콜센터(1599-2000)로 연락하거나 홈페이지를 활용하세요.





























